《我的解放日誌》
這部劇不用我多說了吧!
基本上每一集都有神台詞,韓語菌已經在各大社交平台刷到n次了!太多刺痛內心的話,相信每個人都能找到共鳴...
先來看幾個火爆社交平台的台詞吧
不會發生任何人
也不會有人喜歡我
我似乎會這樣度過漫長時光
最後枯萎死去
我累了
所有人的人際關係
都想在工作
清醒的每個瞬間
都在勞動
連吃飯時間都搞得很有壓力
我有需要認識全公司的人嗎?
幹嘛跟其他部門的人變熟?
連跟自己部門的人都很難熟了
難道大家學生時期都當過文娛委員嗎?
대한민국 주변부 맴도는 이들의 외침 『나의 해방일지』
大韓民國首爾周邊人們的吶喊《我的解放日誌》
『나의 해방일지』를 보고 주변 몇몇 사람들은 의문을 표했다. 『경기도에 사는 게 그렇게 큰 난관이야?』 의문을 표한 사람들은 하나같이 서울 시민들이다. 반면 며칠 전 만난, 12년째 남양주 덕소에 살고 있는 지인은 격한공감을 표했다.
看到《我的解放日誌》之後,周圍的一些人感到了疑惑。首爾市民大多表示疑問"住在京畿道有那麼大差別嗎?」。 但是在南楊州德沼生活了12年的本地人卻有著強烈的共鳴。
住在首爾近郊的人的心聲
「무슨 약속을 나가도 한창 분위기 좋을 때 막차 시간 때문에 종종거리는 게, 딱 나더라.」 막차 시간이 아니어도 지인은 무슨 말을 할 때마다 『시골에 살다 보니』라고 자주 덧붙이며 웃곤 했다. 서울 중심부와 고작 30km도 떨어지지 않은 곳인데.
"不論去哪兒玩,氣氛正酣的時候差不多就到了末班車的時間,街上熙熙攘攘的,我就是其中一個。" 即使不是末班車時間,熟人之間無論說什麼都會帶上一句"因為我們住在鄉下" ,但實際這裡距離首爾中心還不到30公里。
지난 9일 방영을 시작한 『나의 해방일지』(극본 박해영, 연출 김석윤)는 경기도민인 삼남매를 주인공 삼아 지리적으로, 그리고 심리적으로 주변부에 머문 사람들의 애환을 강하게 건드린다. 염기정(이엘), 염창희(이민기), 염미정(김지원) 삼남매는 산포시에 산다.
4月9日開始播出的《我的解放日誌》(劇本朴海英,導演金碩允)是以居住在京畿道的三兄妹為主人公打造的電視劇。無論是地理位置還是心理感受,都引起了生活在首爾周邊人的強烈共鳴。老大廉基貞(李儀飾)、老二廉昌熙(李民基飾)與老么廉美貞(金智媛飾)三兄妹住在山埔市。
어린 시절부터 그곳에서 자랐고, 사회인인 지금도 부모와 함께 거주하며 매일 왕복 3시간가량 길에서 허비하며 서울로 출퇴근한다. 산포시는 드라마 속 가상의 도시지만, 가늠할 만한 도시는 많다. 대부분 알아듣지 못하고 「산포시? 그게 어디더라? 용인 쪽인가?」 하고 되물으면 미정은 「수원 근처」라고 답한다.
在這裡出生長大,現在即使工作了也依然和父母住在一起,每天要往返首爾上下班,光在路上就要浪費3個小時左右。雖然電視劇中的山埔市是個假想城市,但有現實中還是有很多類似的城市。大部分人都不知道這個城市,就會問:"山埔市?那是哪裡?是龍仁那邊嗎?",美貞就會回答"水原附近"。
막차가 놓칠때면 강남역에서 삼남매가 모여 택시를 타고 3만원을 내니까 군포나 의왕, 화성, 오산 즈음으로 추정할 수 있겠다(화성이나 오산이면 3만원 이상 들긴 하지만).
如果錯過末班車,三兄妹就會在江南站坐計程車,大概花費3萬韓元,推測是軍浦、義王、華城、烏山這幾個周邊城市(不過到華城或烏山需要3萬韓元以上)。
住在首爾得話,會不同嗎?
염씨 삼남매 중 유난히 말이 없는 미정을 빼고, 기정과 창희는 산포시에 사는 자신들의 삶에 지독한 무력감을 느낀다.
기정은 매일 「밝을 때 퇴근했는데, 밤이야. 저녁이 없어」라고 투덜거리고, 서울에 사는 애인과 최근 헤어진 창희는 「뉴욕까진 아니어도, 적어도 서울에서 태어났으면...」 하고 한숨을 토한다.
미정이 「서울에 살았으면 우리 달랐어?」라고 묻자 창희와 창희의 친구 오두환(한상조)이 입을 모아 「달랐어」라고 단언하는 장면은 인상적이다.
그 말을 완강히 부인할 자신이, 서울에서 나고 자란 나 또한 없기 때문이다.
廉氏三兄妹中除了沉默寡言的美貞,基貞和昌熙都對住在山埔市的生活感到極度無力。
基貞經常抱怨說: 「 每天都是天不亮就去上班,夜深了才到家。我的人生沒有傍晚。」
昌熙最近和住在首爾的戀人分手了,他嘆氣道: 「 雖然沒生在紐約,但至少在首爾出生的話...」
美貞問 :「 住在首爾的話,不一樣嗎?」
昌熙和昌熙的朋友吳斗煥(韓尚祖)異口同聲地回答: 「 不一樣 」,
斬釘截鐵的回答令人印象深刻。堅定的回答摧毀著自信,都只因不是在首爾出生。
대한민국은 『서울공화국』이란 말이 통용될 만큼 압도적으로 많은 분야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친다. 5200만 가까운 인구 중 서울에 사는 인구가 950만 명이 넘고, 경기도와 인천까지 아우르면 무려 2600만 명이다. 대한민국 사람 중 절반이 수도권에 사는 거다.
大韓民國中"首爾共和國"一詞的使用頻率以首爾為中心成壓倒性優勢。在近5200萬人口中,居住在首爾的人口超過950萬人,加上京畿道和仁川,足足有2600萬人。韓國人口中有一半的人生活在首都圈。
그리고 상당히 많은 수도권 사람들이 『in 서울』을 갈망한다. 『in 서울』 대학은 물론이고, 직장도, 사는 곳도 서울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팽배하다. 편견에 찌든 생각 아니냐고? 물론 그렇다.
生活在首都圈人渴望"in首爾"。不僅是"在首爾",而是上學,工作、生活全部都融進首爾中。大家是不是被偏見桎梏了?當然如此。
在首爾生活是一種恩賜?
문제는 대한민국 정치인마저 『서울 살다 이혼하면 부천 가고, 망하면 인천 간다』고 지역 비하 망언을 할 정도로 이런 편견에 찌든 생각들이 우리 사회에 공고하다는 거다. 그러니까 서울에 사는 건, 창희의 말처럼 일종의 혜택처럼 여겨지는 셈이다.
但問題是,就連大韓民國政治家都妄言"生活就在首爾,離婚就去富川,去世就葬在仁川",可見韓國社會根深蒂固了這種偏見。所以,就像昌熙說的那樣,在首爾生活,像是一種恩賜。
일부 서울 사람들은 서울우월주의 내지는 선민사상을 짙게 드러내기도 한다. 서울 또는 서울 근교 수도권 거주민들이 경기도 외곽이나 타 지역민에게 『거기도 OOO(대표적으로 백화점, 스타벅스 등)가 있어?』 하는 식으로 놀라워하는 것도 서울 위주 선민사상에서 기인한 반응이다.
部分首爾人還將首爾優越主義乃至於是天選之子的思想變現的淋漓盡致。首爾或首爾近郊,這些首都圈居民會對京畿道外圍或其他地區居民說" 你那裡也有OOO(代表性百貨商店、星巴克等)嗎?" 這種驚訝也是源於首爾的優越主義的反應。
이런 선민사상은 비단 어제오늘 일만은 아니다.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용이 귀양 가 있을 때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보라. 『혹여 벼슬에서 물러나더라도 한양 근처에서 살며 안목을 떨어뜨리지 않아야 한다내가 지금은 죄인이 되어 너희를 시골에 숨어 살게 했지만, 앞으로 반드시 한양의 십 리 안에서 지내게 하겠다. 분노와 고통을 참지 못하고 먼 시골로 가 버린다면 어리석고 천한 백성으로 일생을 끝마칠 뿐이다.』
這種優越感非一日所成。看看朝鮮時代實學家丁若鏞流放時寫給兒子的信。"即使被罷免,也要住在漢陽附近,不得掉以輕心。我現在成了罪人,讓你們躲在鄉下生活,但以後一定會讓你們在距離漢陽十里內的地方生活。如若忍不住憤怒和痛苦,去遠方的鄉里生活,終只以愚賤之民結束一生。"
경기도에 사는 게 그렇게 큰 난관인가 싶은 서울 사람들은, 집이 멀다는 이유로 자리에서 일찍 일어나는 『나의 해방일지』의 미정 같은 사람들에게 무심한 말을 툭 던진다. 『그냥 서울로 이사 오지 그래? 』 시청자 게시판이나 커뮤니티에도 그런 반응이 많다.
不能切身感受住在周邊城市的首爾人,就像《我的解放日誌》中那樣,離家太遠需要早起的人,隨口說出 「直接搬到首爾來吧?」
삼남매가 각각 리서치 회사, 프랜차이즈 편의점 본사, 신용카드 회사에서 근무하는 만큼 돈을 모아서 서울에서 작은 투룸이라도 얻으면 되지 않냐고. 삼남매가 독립하지 않는 이유는 아직 본격적으로 드러나진 않았지만, 서울에서 서민 동네로 알려진 지역마저 평균 평당가가 부유층 많기로 이름난 부산의 해운대구를 초월했다는 걸 감안하면 그리 쉽게 내뱉을 만한 말은 아니다.
三兄妹分別在調查公司、連鎖便利店總公司、信用卡公司工作,攢錢在首爾租個小兩居室不就行了嗎?這種觀眾留言很普遍。雖然三兄妹不搬到首爾的根本原因還沒有浮出水面,但考慮到在首爾平民村落的地區平均房價都已經遠超釜山海雲台的房價,並不是輕易就能隨口說出來的。
문제는 그게 아니다.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사는 걸 덜 행복하게 느끼고, 남들 또한 그런 시선으로 바라보는 걸 당연시하는 사회가 문제다. 『차도 없는 경기도민이 어떻게 연애를 하고 어떻게 결혼을 하느냐』는 창희나 『어차피 나는 경기도에 안 살 건데, 뭐하러 (창희가 사는 경기도 외곽 동네에) 관심을 갖느냐』고 말하는 창희의 헤어진 여자친구 등 경기도에 산다는 것 자체로 열패감에 빠져야 하는 건 심각한 문제 아닐까?
但是問題並不在此。主要問題是生活在非首爾以外的其他地區,感覺不幸福,而且別人也會用這種眼光來看待,還覺得是理所應當的。昌熙:「 沒有車,京畿道的人怎麼談戀愛,怎麼結婚 」,「 反正我不住在京畿道,為什麼要關心(昌熙居住的京畿道郊區)「 說出這話的是昌熙已經分手的女朋友。住在京畿道本身就使他深陷自卑,這難道不是嚴重的問題嗎?」
此劇影響到了地區政策
장거리 출퇴근에 시달리는 경기도민의 애환을 건드린 만큼 『나의 해방일지』는 다가올 6.1 경기도지사 선거를준비하는 예비후보들의 눈에 발빠르게 포착된 상태다. 국민의힘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유승민 전 의원이 이 드라마의 대사를 언급하며 교통문제를 해결하여 서울로 출퇴근하는 이들의 시간을 줄여줄 것이라 다짐했고,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예비후보도 SNS에 드라마 대사를 인용하며 경기도에 사는 것이 자랑스러울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고밝혔다.
此劇的播出觸動了長途奔波往返於首爾的京畿道居民,即將到來的6.1京畿道知事選舉的預備候選人們也因《我的解放日誌》的播出,從中迅速捕捉到了時事信息。京畿道知事預備候選人劉承旼前議員提及該電視劇的台詞,決心解決交通問題,減少上下班到首爾的時間,共同民主黨預備候選人金東淵也在SNS上引用電視劇台詞表示:"為了讓居民在京畿道生活而感到自豪,將創造出很多優質崗位。"
다 좋은 목표이고 이루어졌으면 하는 사안들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어디 사세요?」란 단순한 질문으로 상대방의 신분을 확인하는 우리 안의 카스트제를 불살라 버리지 못하면 『나의 해방일지』의 주인공들이 겪는 열패감은 사라질 수 없다.
以上都是美好的願景,但從現實目標出發,根本就是「住哪裡?」這句話如果不是單純的提問,而是為了明確身份,不能消除自己的地域優越感,那麼《我的解放日誌》的主人公們所經歷的自卑感是無法消除的。
인터넷상에 서울 강남권을황족으로, 『마용성(마포•용산•성동)』을 중앙귀족으로 빗대는 등 거주 지역에 따라 서열을 나눈 『부동산 계급도』가 떠도는 씁쓸한현실을 보라. 굳이 산포시까지 가지 않아도 서울 노른자 지역 외의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열패감을 자극하는 이런 사회가 지속되다 보면 우리는 모두 주변부 사람이 될 수밖에 없다.
網絡上,首爾江南地區,把"馬龍城(麻浦·龍山·城東)"比喻成"中央貴族"等,根據居住地區劃分序列的"房地產階級圖"這種不明說的現實。即使沒有真的山浦市,這種隱藏的現實不斷刺激著非首爾中心的人,增加他們的自卑感,那最終我們都會成為邊緣人。
『나를 추앙해요』등 사뭇 오그라드는 몇몇 대사와 정적인 속도감으로 호불호가 갈리고 있긴 하지만, 모두가 화려한 중심의 삶을 갈망하는 가운데 촌스럽다 여겨지는 주변부 사람의 진솔한 모습을 포착해낼 것으로 보여 애정을 담아 보고 있다.
"崇拜我"等幾句恣肆的台詞,帶來的衝擊感好壞參半,在所有人都渴望華麗的首爾生活下,捕捉到周邊居住者飽滿且真實的情感表達。
내성적이라 사내 동호회를 거부하는 미정의 회사 박 부장(박수영), 싱글대디라 마찬가지로 동호회 활동을 하지 않는 조태훈(이기우), 그리고 특히 삼남매의 아버지 제호(천호진)의 일을 도우며 매일 깡소주로 젖어 사는 구씨(손석구)의 무언의 텅 빈 눈빛이 은근히 심금을 울리거든.
因為性格內向而拒絕社內聯誼會的美貞公司朴部長(朴秀英)、和單身爸爸一樣不參加聯誼會的趙泰勛(李基宇),尤其是給三兄妹的父親諸浩(千浩鎮)幫忙,每天用燒酒借酒消愁的具某(孫錫久)沉默寡言,空蕩蕩的眼神,扣人心弦。
『또 오해영』 『나의 아저씨』로 우리 주변의 평범한, 어찌 보면 주인공과는 멀어 보이는 인물들에 강한 애정을 보여온 박해영 작가가 또 한 번의 인생작을 그려낼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
朴海英作家通過《又是吳海英》、《我的大叔》等作品對周圍平凡的人事物進行刻畫,讓看似與主人公相距甚遠的我們也能與人物產生共鳴,期待作家的下一步作品。
今日詞彙
격하다【動詞】激怒 ,激憤 ,暴怒
놓치다【動詞】錯過 ,錯失,跑掉 ,鬆開
평균 【名詞】平均 ,均等
밝히다【動詞】宣布 ,公布
단순하다【形容詞】簡單 ,單純
황족【名詞】皇族 ,皇親國戚
씁쓸하다【形容詞】微苦 ,略苦 ,略有不悅 ,不是滋味兒
평범하다【形容詞】平凡 ,平常 ,普通 ,平庸 ,平淡無奇
今日語法
-(으)ㄴ/는/(으)ㄹ 만큼
限定:用於謂詞後
大意:表示程度。
우리는 참을 수 없을 만큼 화가 났어요.
我們實在是忍無可忍最後發火了。
많이 있으니 네가 가지고 싶은 만큼 가져.
因為有很多你想拿多少就拿多少。